728x90

누가현상(보충현상)

1. 영어 recruitment

 

2. 달팽이관(와우) 내의 유모세포(hair cell)의 손상으로 인한 난청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현상

 

3. 청력손실로 인해 역치(dB HL)가 증가해도 큰 소리를 들을 때 발생하는 불쾌수준은 증가하지 않아 귀가 물리적 소리를 받아들이는 역동범위(dynamic range: DR)가 줄어드는 현상.

 

4. 보통 약 65db HL의 역치를 가진 중도청각장애인은 보통 크기의 대화음(0에서 25 dB HL)은 잘 듣지 못하지만, 근거리에서 조금만 큰 소리로 이야기하면 깜짝 놀라게 됨.

 

) 저 친구는 감각성난청에 의한 누가현상으로 작은 소리는 전혀 못듣다가, 가까이 다가가서 (조금만) 큰 소리를 내면 깜짝놀란다는 점을 알고 배려해야겠어!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증폭기  (0) 2021.06.08
음향되울림(acoustic feedback)  (0) 2021.06.08
와우의 측면 구조  (0) 2021.06.06
삼출성중이염  (0) 2021.06.06
고실도  (0) 2021.06.06
728x90

선형증폭기 : 모든 강도의 입력음압에 대해 출력음압의 증가 비율이 동일함. , 이득(gain)을 모두 일정하게 함. 예를 들어, 40데시벨 입력음을 70데시벨로 증폭하는 경우 이득(gain)30데시벨인데, 50데시벨 입력음은 80데시벨, 10데시벨 입력음은 40데시벨로 출력됨.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현상(보충현상,recruitment)  (0) 2021.06.08
음향되울림(acoustic feedback)  (0) 2021.06.08
와우의 측면 구조  (0) 2021.06.06
삼출성중이염  (0) 2021.06.06
고실도  (0) 2021.06.06
728x90

 

음향되울림(acoustic feedback) :

귓속형 or 귀걸이형 보청기 착용 시 귀와 보청기 사이에 생기는 틈새/환기구 등을 통해 고막과 보청기 사이의 공간에 있는 소리가 밖으로 새어 나온 후 다시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어 나타나는 피드백 현상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현상(보충현상,recruitment)  (0) 2021.06.08
선형증폭기  (0) 2021.06.08
와우의 측면 구조  (0) 2021.06.06
삼출성중이염  (0) 2021.06.06
고실도  (0) 2021.06.06
728x90

와우의 측면 구조

 

와우를 측면에서 보면 

2개의 막이 3개의 공간을 만든다

 

중이의 등골 → 난원장 → 와우의 전정계

 

전정계 (외림프액)

<라이너스막>----------------

중간계 (내림프액)

<기저막>--------------------

고실계 (외림프액)

 

기저막은 코티기(코르티기)의 유모세포와 연결되어 소리(음)을 전달함.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증폭기  (0) 2021.06.08
음향되울림(acoustic feedback)  (0) 2021.06.08
삼출성중이염  (0) 2021.06.06
고실도  (0) 2021.06.06
자연수화  (0) 2021.06.06
728x90

삼출성중이염

 

고막 안 중이강에 진물이 차 다양한 종류의 액체가 축적된 것.

이관의 기능장애로 발생 가능.

진물로 인해 이소골이 작동할 수 없으므로 중이의 증폭기능에 결함을 유발함.

의료적 처치가 늦어지는 경우 난청 유발. → 빠른 치료가 권장됨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향되울림(acoustic feedback)  (0) 2021.06.08
와우의 측면 구조  (0) 2021.06.06
고실도  (0) 2021.06.06
자연수화  (0) 2021.06.06
농문화를 대하는 건청인의 올바른 자세  (0) 2021.06.06
728x90

고실도

 

프로브로 외이도를 막고 음향변화기로 고막에 공기압력을 보내면 마이크로폰이 고막의 운동성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기록하여 생성하는 그래프.

 

고실 : 고막 안쪽 방(실)에 대한

도 : 그래프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우의 측면 구조  (0) 2021.06.06
삼출성중이염  (0) 2021.06.06
자연수화  (0) 2021.06.06
농문화를 대하는 건청인의 올바른 자세  (0) 2021.06.06
추골과 침골  (0) 2021.06.06
728x90

자연수화는 농인의 제1언어 모국어이며, 농인은 자연수화를 사용하여 농문화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함.

 

농인은 또한 건청인 가운데서 살아가야하므로 한국어는 제2언어로 건청인과의 소통을 위해 배워야하고 건청인의 문화에도 접근하 수 있어야 함.

 

이렇게 농인이 두 가지 언어와 문화를 모두 접하도록 하는 것은 2Bi라고 하며 이것은 팀티칭으로 이루어져야 함.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출성중이염  (0) 2021.06.06
고실도  (0) 2021.06.06
농문화를 대하는 건청인의 올바른 자세  (0) 2021.06.06
추골과 침골  (0) 2021.06.06
소리 음의 매질 변화  (0) 2021.06.06
728x90

농문화를 대하는 건청인의 올바른 자세

 

농인은 농문화를 자랑스러워 함.

한국인이 한국의 문화를 자랑스러워 하는 것처럼.

한국을 존중하는 외국인이 한국의 문화를 존중해야하는 것처럼

그러므로, 건청인이 농인의 농문화를 존중해야 함.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실도  (0) 2021.06.06
자연수화  (0) 2021.06.06
추골과 침골  (0) 2021.06.06
소리 음의 매질 변화  (0) 2021.06.06
무수섬유  (0) 2021.06.04
728x90

추골과 침골

 

추골, 침골, 등골은 모두 이소골을 구성하는 뼈임.

 

추골은 망치처럼 생겨서

모루처럼 생긴 침골을 두드리고

이렇게 전달된 소리(음)의 진동이 등골 → 난원창을 통해 → 와우의 외림프액으로 전달됨

 

암기법 :

추골이 추격해서 때리고, 침범당한 침골이 소리를 등뒤로(등골)로 전해주면 난원창(침범당해 난장판이 된 소리가 들어가는 입구)을 통해 와우(내림프액)으로 들어간다고 하면 됨.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수화  (0) 2021.06.06
농문화를 대하는 건청인의 올바른 자세  (0) 2021.06.06
소리 음의 매질 변화  (0) 2021.06.06
무수섬유  (0) 2021.06.04
바나나스피치 Banana Speech  (0) 2021.06.03
728x90

소리 음의 매질 변화

 

소리(음)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매질이 변하면, 소리(음)의 손실이 일어남.

기체에서 액체로 소리(음) 전달 매질이 바뀌는 경우 99%는 소실되고 1% 정도만 전달됨.

외이도를 기체상태로 지난 소리(음)은 고막(고체)를 통과하고 내이(림프액)을 통과하면서 99%가 소실되나, 중이의 증폭기능으로 이를 보충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됨.

'● 청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수화  (0) 2021.06.06
농문화를 대하는 건청인의 올바른 자세  (0) 2021.06.06
추골과 침골  (0) 2021.06.06
무수섬유  (0) 2021.06.04
바나나스피치 Banana Speech  (0) 2021.06.03

+ Recent posts